한국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 가능성 보고서

본 보고서는 한국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하 KRW-S)의 핵심 시장 기회가 국내가 아닌, 아시아 무역 회랑 내 한국의 중소기업(SMB) 및 개인 소비자를 위한 크로스보더 결제 혁신에 있다는 핵심 주장을 검증하고 구체화한다.

Executive Summary

본 보고서는 한국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하 KRW-S)의 핵심 시장 기회가 국내가 아닌, 아시아 무역 회랑 내 한국의 중소기업(SMB) 및 개인 소비자를 위한 크로스보더 결제 혁신에 있다는 핵심 주장을 검증하고 구체화한다.

현재의 크로스보더 결제 시스템은 SWIFT 네트워크와 환거래 은행망에 의존하며, 이는 특히 소액·고빈도 거래가 특징인 중소기업 및 개인에게 높은 수수료(평균 3~7%), 느린 정산 속도(1~5 영업일), 불투명한 거래 과정이라는 형태의 상당한 '마찰 비용(friction tax)'을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비효율성은 글로벌 시장에서 소규모 경제 주체들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한 기술적 대안으로, 투명하게 운영되는 100% 법정화폐 담보 KRW-S는 연중무휴 24시간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정산을 기존 시스템 대비 극히 일부의 비용으로 가능하게 하는 우월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보고서가 분석한 중소기업 무역, 개인 송금,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부문의 총 잠재 시장(Total Addressable Market, TAM) 규모는 연간 수백 조 원에 달하며, KRW-S 도입을 통해 절감할 수 있는 비용은 연간 수조 원을 초과할 것으로 추산된다.

KRW-S의 핵심 전략적 우위는 기존의 '원화(KRW) → 미국 달러(USD) → 현지 통화'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중 환전 리스크를 완화하고, '원화(KRW) ↔ 현지 통화' 간의 직접적인 가치 교환 경로를 효율화하는 데 있다.

물론 한국의 규제 환경은 '디지털자산기본법(2단계)' 입법 방향과 한국은행의 신중한 입장을 중심으로 여전히 상당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 내에서 관리하고 합법화하려는 글로벌 규제 동향은 명확한 추세를 형성하고 있다.

KRW-S의 성공은 최고 수준의 투명성 확보, 결제 게이트웨이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그리고 마찰 비용이 가장 큰 특정 국가 간 거래(corridor)에 집중하는 시장 진출 전략에 달려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도전 과제를 탐색하고 거대한 시장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상세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This post is for subscribers only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Subscribe to 황병선의 AI 벤처 만들기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example.com
Subscribe